RS-485 통신 방식 및 주요 프로토콜(protocol)

RS-485는 물리적 인터페이스 표준으로, 다양한 프로토콜이 RS-485 위에서 동작합니다. 여기서는 RS-485의 통신 방식, 주요 프로토콜 방식, 그리고 이들을 실제로 사용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.

 

RS-485 protocol
RS-485 protocol

1. RS-485 통신 방식

RS-485는 물리 계층에서 차동 신호(differential signaling)를 사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합니다. 이를 통해 긴 거리에서도 신호 무결성을 유지하고 전자기 간섭(EMI)에 대한 저항력을 높입니다. RS-485는 일반적으로 반이중 통신(half-duplex)을 사용하지만, 필요에 따라 전이중 통신(full-duplex)도 가능합니다.

 

2. 주요 RS-485 프로토콜

RS-485는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하는데, 여기서는 가장 널리 사용되는 몇 가지 프로토콜에 대해 설명합니다.

    Modbus RTU

        사용 분야: 산업 자동화, PLC 통신

        프레임 구조

            주소 필드: 1바이트, 수신 장치의 주소

            기능 코드: 1바이트, 수행할 작업을 지정

            데이터 필드: 최대 252바이트, 실제 데이터

            CRC: 2바이트, 오류 검출을 위한 사이클릭 중복 검사

        특징

            바이너리 데이터 형식을 사용해 통신 효율이 높음

            간단하고 널리 사용되는 프로토콜

 

    Profibus

        사용 분야: 공장 자동화, 프로세스 제어

        프레임 구조

            SD(Start Delimiter): 1바이트, 프레임 시작 표시

            주소 필드: 1-2바이트, 송신자와 수신자 주소

            제어 필드: 1바이트, 통신 제어 정보

            데이터 필드: 가변 길이, 실제 데이터

            FCS(Frame Check Sequence): 1-2바이트, 오류 검출

        특징

            높은 데이터 전송 속도와 신뢰성

            마스터-슬레이브 및 멀티마스터 통신 지원

 

    DNP3(Distributed Network Protocol)

        사용 분야: 전력 시스템, SCADA(Supervisory Control and Data Acquisition)

        프레임 구조

            Start: 2바이트, 프레임 시작을 알림

            Length: 1바이트, 프레임 길이

            Control: 1바이트, 프레임 제어 정보

            Address: 2-5바이트, 원본 및 대상 주소

            Data: 가변 길이, 실제 데이터

            CRC: 2바이트, 오류 검출

        특징

            시간 동기화와 이벤트 기반 통신 지원

            효율적인 오류 처리 및 데이터 신뢰성 보장

 

    BACnet MS/TP (Master-Slave/Token-Passing)

        사용 분야: 빌딩 자동화, HVAC 제어

        프레임 구조

            Preamble: 1바이트, 프레임 시작을 알림

            Destination Address: 1바이트, 수신자 주소

            Source Address: 1바이트, 송신자 주소

            Length: 1바이트, 데이터 길이

            Data: 가변 길이, 제어 명령 및 데이터

            CRC: 2바이트, 오류 검출

        특징

            마스터-슬레이브 토큰 패싱 메커니즘

            빌딩 자동화 시스템에서의 상호 운용성 보장

 

3. RS-485 네트워크 구성

RS-485 네트워크를 구성할 때 다음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.

    배선

        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을 사용하여 노이즈 간섭을 최소화합니다.

        배선 길이는 최대 1200미터까지 지원됩니다.

    종단 저항: 네트워크의 양 끝에 120Ω 저항을 설치하여 신호 반사를 줄이고 통신 품질을 개선합니다.

    피복 및 접지: 케이블의 피복을 적절히 설치하고, 접지를 통해 전자기 간섭을 최소화합니다.

    노드 주소: 각 장치에 고유의 주소를 할당하여 네트워크 내에서 식별할 수 있도록 합니다.

 

4. 프로토콜 구현 예제

여기서는 Modbus RTU를 사용하는 간단한 예제를 설명합니다.

    Modbus RTU 통신 흐름

        마스터는 슬레이브에게 요청을 보냅니다.

        슬레이브는 요청을 받고 처리한 후 응답을 보냅니다.

    Modbus RTU 요청 예제

        주소 필드: 0x01 (슬레이브 주소)

        기능 코드: 0x03 (레지스터 읽기)

        데이터 필드: 0x00 0x10 0x00 0x02 (레지스터 16번부터 2개 읽기)

        CRC: 0xC4 0xB1 (CRC16 오류 검출 코드)

    Modbus RTU 응답 예제:

        주소 필드: 0x01 (슬레이브 주소)

        기능 코드: 0x03 (레지스터 읽기)

        데이터 필드: 0x04 (데이터 바이트 수) 0x00 0x0A 0x00 0x14 (레지스터 데이터)

        CRC: 0xD0 0xF8 (CRC16 오류 검출 코드)

 

5. 결론

RS-485는 다양한 프로토콜을 지원하며, 산업 자동화, 빌딩 관리, 전력 시스템 등 여러 분야에서 널리 사용됩니다. 각 프로토콜은 특정 응용 분야에 최적화되어 있으며, 적절한 프로토콜을 선택함으로써 안정적이고 효율적인 통신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. RS-485의 장점인 장거리 통신, 노이즈 내성, 멀티드롭 네트워크 지원 등을 활용하여 다양한 시스템에서 신뢰성 높은 데이터 전송을 구현할 수 있습니다.

댓글 쓰기

0 댓글